Series Reading: 스타일레슨 8
사람들은 대개 글쓰기가 기술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견습과정을 거쳐야 한다.–Katherine Ann Porter






이 글은 《논증의 탄생》과 《스타일레슨》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Series Reading: 논증의 탄생
- 글을 쓰는 것이 어려운 이유
- 그리스 수사학의 전통
- 현대 수사학과 논증의 발전
- 고등학교와 대학 글쓰기의 차이
- 가짜 논증과 진짜 논증
- 논증처럼 보이지만 논증이 아닌 것
- 일상적인 대화에서 찾는 논증의 원리
- 글쓰기가 비판적 사고를 훈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유
- 독자의 관심을 어떻게 끌 것인가?
- 독자가 귀 기울일 만한 매력적인 주장을 찾아라
- 가치있는 주장인지 판단해볼 수 있는 3가지 기준
-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 남들의 시선으로 내 생각을 바라보는 것이 어려운 2가지 이유
- 아무리 똑똑한 사람도 독단에 빠진다
- 이 모든 사태의 원인을 따지는 가장 이성적인 방법
- 누구 책임인가? 누구의 공인가? : 논리적으로 따지는 5가지 기준
- 아무리 똑똑한 사람도 잘못된 판단을 하는 이유: 4가지
- 어휘선택: 독자를 통제하기 위한 교묘한 전략
- 정치인들이 활용하는 기본적인 선동기법 3가지
이 글은 2021년 11월 8일 [슬로우뉴스]에 게재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