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주장이 가치있는 주장인지 판단해볼 수 있는 3가지 기준

주장이라고 해서 다 같은 주장이 아니다. 생각해 볼 만한 가치가 없다고 여겨지는 주장에 사람들은 굳이 시간을 들여 귀 기울이지 않는다. 예컨대 지구가 평평하다는 주장을 하는 글을 당신은 읽고 싶은가? (물론 지구가 둥글다는 주장을 하는 글도 읽지 않을 것이다. 시간낭비일 뿐이다.)

따라서 자신의 주장을 펼치기 위해 논증을 세우고 그것을 글로 쓸 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주장이 머릿속에 떠오른다면, 독자들도 관심을 가질 만한 주장인지 먼저 판단해야 한다. 다음 세 가지 질문에 답하여보라.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장인가?

누구나 동의하는 ‘뻔한 사실’은 주장으로서 가치가 없다. 누구나 동의하는 주장, 또는 아무도 관심도 갖지 않는 주장에 대해 누가 시간을 들여 귀 기울이고 싶어하겠는가?

  • 대통령이 되려고 하는 사람은 정직하고 청렴해야 한다.
  • 사람의 외모를 보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

이런 주장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이 있을까? 이처럼 논쟁의 여지가 없는 주장에 대해서는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다. 논쟁의 여지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기 어렵다면, 주장을 뒤집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 대통령이 되려고 하는 사람은 정직하고 청렴해서는 안 된다.
  • 사람의 외모를 보고 판단해야 한다.

이런 주장은 사람들이 보자마자 기각할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뒤집은 주장이 여전히 그럴듯 해보인다면,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장이다. 그런 주장을 찾아라.

반박할 수 있는 주장인가?

신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자. ‘어떻게 사람들을 설득할 것인지’ 물었더니 이렇게 대답했다.

세상에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사람이 있는가? 나는 신을 두 눈으로 똑똑히 보았다. 또한 지금까지 어떠한 과학실험도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해내지 못했다.

이 논증은 아무도 반박할 수 없다. 어떤 반박이든 ‘내가 봤다니까!’ 이 말 한 마디로 꺾어버릴 것이다. 흔히 상대방이 반박할 수 없도록 압도하는 것을 논증의 목표라고 생각하지만, 주장의 옳고 그름을 따질 수 없는 (반증가능성disconfirmability이 없는=답정너) 주장에 대해서 독자는 아무런 관심도 갖지 않는다.

현실성 있는 주장인가?

위의 두 조건이 충족되었다면 비판적인 독자들은 이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것이다.

실현가능한 주장인가?

너무 과격하거나 과도하여 공허하게 느껴지는 주장에 사람들은 귀 기울이지 않는다.

윤리적인/합법적인/공정한/적절한 주장인가?

아무리 논리적이라고 해도 비윤리적인 주장에 사람들은 귀 기울이지 않는다. (ex. 가난한 사람은 부정식품이라도 먹을 수 있게 선택의 자유를 존중해야 한다.)

더 나쁜 문제를 초래하는 주장은 아닌가?

내가 주장하는 해법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보다 더 큰 문제를 초래하지는 않을까? 예컨대 기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최저임금제를 없애자는 주장은 누가 봐도 바보같은 주장이다. 노동자들의 반발을 초래하여 기업경쟁력은커녕 사회혼란을 촉발할 것이기 때문이다.

논증의 탄생
크리틱스초이스
스타일레슨

이 글은 《논증의 탄생》과 《스타일레슨》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Series Reading: 논증의 탄생

  1. 글을 쓰는 것이 어려운 이유
  2. 그리스 수사학의 전통
  3. 현대 수사학과 논증의 발전
  4. 고등학교와 대학 글쓰기의 차이
  5. 가짜 논증과 진짜 논증
  6. 논증처럼 보이지만 논증이 아닌 것
  7. 일상적인 대화에서 찾는 논증의 원리
  8. 글쓰기가 비판적 사고를 훈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유
  9. 독자의 관심을 어떻게 끌 것인가?
  10. 독자가 귀 기울일 만한 매력적인 주장을 찾아라
  11. 가치있는 주장인지 판단해볼 수 있는 3가지 기준
  12.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13. 남들의 시선으로 내 생각을 바라보는 것이 어려운 2가지 이유
  14. 아무리 똑똑한 사람도 독단에 빠진다
  15. 이 모든 사태의 원인을 따지는 가장 이성적인 방법
  16. 누구 책임인가? 누구의 공인가? : 논리적으로 따지는 5가지 기준
  17. 아무리 똑똑한 사람도 잘못된 판단을 하는 이유: 4가지
  18. 어휘선택: 독자를 통제하기 위한 교묘한 전략
  19. 정치인들이 활용하는 기본적인 선동기법 3가지

이 글에 대한 당신의 생각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