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by an apprentice
Target by 윤영삼
Abilene paradox
애빌린의 역설
애빌린의 역설
의견이 일치된 것처럼 보이는 의사 결정도 사실은 잘못된 인식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원래 의도와 무관한 방항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이론. 1974년 제리 하비(Jerry Harvey)가 제안한 이론으로, 그가 가족들과 함께 여행한 지역인 애빌린(Abilene)을 따라 이름을 붙였다. 다른 이들이 재미있는 것을 원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놀러가자고 제안했고, 모두들 다른 사람들이 모두 가고 싶어한다는 데에 동의했다. 돌아오는 길에 모두들 사실 집에 있기를 더 원했다고 인정했다. 하비는 이 경험을 통하여, 명백한 의견일치가 사실은 부족한 의사소통으로 인해 이루어졌을 경우 조직내에서 동의와 의사 결정의 잘못된 관리를 설명하였다. 애블린의 역설은 [지도력의 공헌이론]과 유사하다.
의견이 일치한 것처럼 보이는 의사 결정도 사실은 잘못된 것일 수 있으며, 원래 의도와 무관한 방항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이론. 1974년 제리 하비(Jerry Harvey)가 제안한 이론으로, 그가 가족들과 함께 여행한 지역인 애빌린(Abilene)의 이름을 따 붙였다. 다른 사람들이 모두 원할 것이라고 생각해 한 사람이 에빌린에 가서 저녁을 먹자고 제안했고, 모두들 가고 싶다고 동의했다. 하지만 사람들은 녹초가 되어 돌아오고, 집에 와서 다시 물어봤을 때, 사람들은 에빌린에 가고 싶지 않았다고 인정했다. 하비는 이 경험을 통해, 명백한 의견일치라도 의사소통이 부족하여 이루어진 결과일 경우, 조직 내 [의사결정]이 잘못 이루어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 애빌린의 역설은 [지도력의 공헌이론]과 유사하다.
- 상황을 제대로 묘사하라. 번역문만 읽어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banner or banner ad
인터넷 조각광고물
배너광고
인터넷 웹사이트에 위에 있는 광고물로, 보통 글자뿐 아니라 움직이는 그림과 소리가 사용되고 인터넷 사용자의 반응에 따라 움직이며, 외부 광고 웹페이지와 연결되어 있다. 인터넷 조각광고는 대부분 크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웹 페이지 위쪽이나 아래쪽에 흔히 위치한다.
웹사이트에 띄우는 광고물로 보통, 글자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그림과 소리도 함께 사용한다. 사용자의 반응에 따라 움직이기도 하며, 외부 웹페이지와 링크되어 있다. 베너광고는 대부분 일정한 크기로 웹페이지 위쪽이나 아래쪽에 위치한다.
- 도착언어 독자들이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어휘/표현을 선택하라. 토속한국어를 쓰면 오히려 독자가 알아듣지 못한다. 번역은 한국어를 지키는 역할도 할 수 있지만 그보다 훨씬 중요한 역할은 ‘커뮤니케이션’이다.
decision-making
의사결정
의사결정
행동이나 조치를 취하는 여러 대안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일을 말한다. 개인 차원에서도 의사결정을 내리며 조직 자원에서도 의사결정을 내린다. 객관적이며 관련이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 대안을 확인하고 규명하면서 결정하는데 필요한 기준을 정한 다음, 최상의 옵션을 택한다. 조직에서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은 본질적으로 조직 문화와 조직 구조의 영향을 받는다. 의사결정에 대한 이론 모델도 다수 개발되어 있다. 개인 차원에서 의사결정을 내릴 때 적용하는 이론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모델은 찰스 켑터Charles Kepner와 벤자민 트레고Benjamin Tregoe가 1981년 펴낸 《이성적 신경영자The New Rational Manager》에 나와 있다. 의사결정 과정에서 [의사결정이론]을 활용할 수 있다. 이때 [발견적학습법]과 [의사결정 트리]를 비롯한 의사결정 기법을 쓴다. 의사결정을 내리는 경영진을 도우려고 개발한 컴퓨터 시스템을 [의사결정지원체계]라고 한다.
여러 대안 중 하나를 선택하는 일을 말한다. 개인 차원에서도 의사결정을 하며 조직차원에서도 의사결정을 한다. 관련이 있는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대안을 파악하고 규명하면서 결정하는데 필요한 기준을 정한 다음, 최상의 방안을 선택한다. 조직에서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은 본질적으로 조직문화와 조직구조의 영향을 받는다. 의사결정모형은 많이 개발되어 있다. 찰스 켑터와 벤자민 트레고의 《새로운 합리적 경영자The New Rational Manager(1981)》에서 설명한 의사결정모형이 개인차원에서 의사결정을 내릴 때 적용하는 이론모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 의사결정과정에서 [의사결정이론]을 활용할 수 있다. [발견학습법]과 [의사결정트리]를 비롯한 의사결정 기법도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된다. 경영진의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컴퓨터프로그램을 [의사결정지원체계]라고 한다.
- “내가 지금 무슨 말을 하고 있는거니?” 무슨 의미인지 스스로 이해하고 그것을 독자들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