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상형문자 vs 아톤

형상이 없는 신

고대이집트를 연구해보면 이집트인들만큼 명랑하고 쾌활하고 삶을 사랑하는 인류가 없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매력적인 특성은 남녀가 평등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다. 부조나 조각상을 보면, 아내는 남편의 허리를 감싸고 있으며, 어린 딸도 아들과 똑같이 애정어린 관계로 묘사된다.

―알랜 가드너 Sir Alain Gardner

아, 이집트인들처럼 사는 것은 얼마나 비참한가! 그곳에서는 남편들이 집에서 베를 짜고, 아내가 밖에 나가 일용할 빵을 벌어온다.

―소포클레스의 《콜로누스의 오이디푸스》에서 오이디푸스가 아들들에게 하는 하소연

이집트인들은 나일강계곡에서 문명을 일궈냈다. 그들은 쐐기문자와 전혀 다른 상형문자를 발명해낸다. 이 문자는 기원전 3000년, 이집트문명이 시작된 시점부터 등장한다. -99

기원전 14세기 이집트 투탄카멘 무덤 벽에 새겨진 우로보로스 ouroboros

서양에서 뱀은 오랫동안 사악함과 유혹의 상징이었지만, 문명의 여명기에는 여성적 에너지를 지닌 긍정적인 표상이었다. 이집트인들은 뱀을 여자의 성적 희열, 더 나아가 생명과 밀접하게 연관된 자애와 생명력을 지닌 피조물로 여겼다. 꿈틀꿈틀 움직이는 뱀의 모습은 혼기에 찬 여자가 걸어가는 모습 또는 춤추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100

로마제국 동전에 등장하는 카두케우스 caduceus. 오늘날 의술의 상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집트 왕권의 주요상징 우라에우스 uraeus

하늘의 여신 눗과 대지의 신 겝이 교미하여 물리적 세계를 창조하고 거기에서 살아갈 생명들을 만들어낸다. 눗과 겝은 세 자녀를 낳는데, 첫째 딸 이시스는 이집트의 대표적인 풍요의 여신이다. 그녀는 신성한 강을 따라 형성된 비옥한 검은 땅을 상징하며, 인간에게 농경기술을 전해준 장본인이기도 하다. 둘째 아들 오시리스는 강의 신으로, 누나 이시스와 연인이자 부부관계를 맺는다. 잘생기고 남자다운 오시리스Osiris는 만인의 추앙을 받는다. 셋째는 세트Seth로, 여러 전설에 따르면 오시리스를 질투한 사악한 동생이다. -102

눗 Nut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슈 Shu (공기)와 헤르 Her (염소머리). 누워있는 신은 땅의 신 겝 Geb.
상류이집트의 여신 네크벳 Nekhbet (독수리)과 하류이집트의 여신 와젯 Wadjet (코브라)이 나일강을 중심으로 하는 세상을 만들어냈다.
암소로 변신한 여신 하토르 Hathor
호루스Horus를 안고 있는 이시스 Isis. 기원전 7세기. 예수를 안고 있는 성모상의 원형.
카두케우스를 든 헤르메스. 기원전 475년경 그리스.
진실을 재는 타조깃털을 머리에 꽂고 있는 마앗 Maat

기존의 그림문자 대신 선형적이고 추상적인 신관문자가 우위를 차지하는 동안 이집트문명에 가부장제가 깃들기 시작한다. 신왕국 초기 투트모세 3세(BC1490-1426)는 아몬을 다른 신들보다 높은 지위로 격상시킨다. 또한 동물과 인간의 특징을 함께 지닌 키메라chimera 형태였던 이집트의 신들이 인간의 모습으로만 묘사되기 시작했다. 무엇보다도 이집트 전통에서는 도저히 나올 수 없는, 보이지 않는 형상이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104

Hieroglyphs on the Temple of Kom Ombo, Egypt.
신왕조의 신관문자 hieratic script

역사상 최초의 유일신숭배자 아크나톤Akhenaton과 왕비 네페르티티 Nefertiti. 신의 형상을 묘사할 수 없는 시대에 만개한 이집트 조각예술. 이집트 신왕국 18대 왕조. 기원전 14세기.

아이들을 안고 아톤 Aton에게 예배드리는 아크나톤과 네페르티티.
딸 메리타튼 Meritaten과 함께 아톤에게 예배를 드리는 아크나톤. 아톤은 이후 구약의 신 아돈Adon(아도나이Adonai, 하느님)이 된다.
호루스가 람세스2세에게 생명을 불어넣어주는 장면. 이집트벽화 곳곳에 등장하는 앙크 Ankh는 생명을 상징한다. 아톤에서 뻗어나오는 방사선 끝에는 언제나 앙크가 달려있다. 앙크는 오늘날 여성을 상징하는 기호로 사용되고 있다.

문자는 고대사회에 너무나 소중한 선물이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진흙판 위에 새겨진 문자들의 정교한 나열 속에는 결코 달갑지 않은 악마―여성혐오―가 숨어있었다… 규칙적, 순차적, 선형적으로 나열된 추상적인 기호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법을 배운 사람들은 균형을 잃고 점차 우월적, 남성적 측면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물론 이러한 급진적 변화는 너무나 깊은 내면에서 미묘하게 발생했기 때문에 인류는 그러한 변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 -112

Note

  1. Sir Alain Gardner, Egypt of the Pharaohs, 91.
  2. W. V. Davis, “Egyptian Hieroglyphics”, in Reading the Past, 81.
  3. Ibid., 85-87.
  4. Carolyn Larrington, ed., The Feminist Companion to Mythology, 24-25.
  5. Cyrus Gordon, The Common Background of Greek and Hebrew Civilization, 118-19.
  6. Donald Redford, Akhenaton: The Heretic King, 72.
  7. Lise Manniche, Sexual Life in Ancient Egypt, 51.
  8. R. Robert Briffault, The Others, 1:384.
  9. E. M. White, Woman in World History, 46.
  10. Merlin Stone, When God Was a Woman, 35-38.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