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ick Guide to Citation

인용출처표기방식

글을 하나 쓰기 위해서는 수많은 다른 글들을 참고하고 인용해야 한다. 독자들 역시 이러한 참고나 인용이 정확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글을 읽는다. ‘근거 자체’는 누구도 볼 수 없기 때문에, 독자들은 근거보고에 만족할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근거를 끄집어내야 한다. 또한 독자들이 원한다면, ‘근거 자체’를 찾아볼 수 있도록 출처를 분명하고 정확하게 알려줘야 한다. 학문적인 글에서는 인용출처를 표기하는 방식을 매우 까다롭게 통일한다. 물론 처음에는 왜 이런 것이 필요한지 이상하게 여기는 학생들도 많다. 하지만 독자들이 예상할 수 있는 형식에 따라 출처를 표기해야지만, 독자들도 어떤 출처에서 인용했는지 쉽게 찾아 확인할 수 있다. 인용출처를 표기해야 하는 곳으로는 다음 두 부분이 있다.

  • 글의 마지막에 참고서적 목록
  • 본문 중에 넣은 인용문

인용출처를 표기하는 방식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출처표기방법은 다음 세 가지가 있다.

MLA

APA

UCMS

우선 독자가 이중에 어떤 표기방식을 원하는지 먼저 알아야 한다. 이 글에서 인용방식이나, 인용출처의 종류를 모두 설명할 수는 없다. 좀더 자세히 알고자 한다면 출처표기방식만 따로 설명하는 책을 사서 보기 바란다.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이 셋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출처표기방식인 MLA와 APA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참고서적을 표기하는 방식을 먼저 알아보고나서, 본문 안에 인용출처를 표기하는 방식을 알아본다.

MLA 출처표기방식

Modern Language Association. 현대언어학회: 인문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한다.

책 (논문모음집포함)

저자.

성, 이름, 중간이름 머릿글자.

제목.

제목: 부제목.

출판정보.

도시: 출판사, 년도.

Meargham, Paul R. The History of Wit and Practical Jokes: How Humor Coexists with Cruelty. Boston: Smith, 1988.

주의할 점

  • 제목은 반드시 밑줄 긋거나 기울여 쓴다.
  • 각각의 정보 단위가 끝날 때마다 마침표를 찍는다.
  • 출처표기가 한 줄 이상 넘어갈 때, 두 번째 줄은 들여 쓴다.

같은 저자가 쓴 여러 책을 나열할 경우 발행순서대로 책을 나열한다. 저자의 이름은 반복하지 않고 줄표를 연달아 세 개를 넣고 마침표를 찍는다.

Meargham, Paul R. The History of Wit and Practical Jokes: How Humor Coexists with Cruelty. Boston: Smith, 1988.
―――. Wit: Its Meaning. Boston: Smith, 1988.

저자가 여러 명인 책인 경우 처음 저자는 성을 먼저 넣고, 나머지 저자는 이름을 먼저 넣는다. 각각의 저자 다음에 쉼표를 넣고 마지막에는 마침표를 넣는다.

Meargham, Paul, harry Winston, and John Holt. Wit: Its Meaning. Boston: Smith, 1984.

저자가 네 명 이상일 때는 첫 번째 저자이름만 쓰고 뒤에 et al을 붙인다.

Meargham, Paul, et al. Wit: Its Tragic Meaning. Boston: Smith, 1989.

여러 권으로 나뉘어 있는 책인 경우 책을 통틀어 지칭하고자 할 때는 제목 뒤에 전체권수를 쓰고 vols.(=volumes)를 붙인다.

Meargham, Paul. Wit: Its Meaning. 2 vols. Boston: Smith, 1984.

특정한 권을 지칭할 때는 Vol. 다음에 자신이 참고한 볼륨번호(시리즈번호)를 쓴다.

Meargham, Paul. Wit: Its Tragic Meaning. Vol 1. Boston: Smith, 1984.

시리즈에서 특정한 책을 지칭할 경우 자신이 어떤 것을 사용했는지 표기하고 시리즈의 이름을 쓴다.

Meargham, Paul. Wit: Its Tragic Meaning. Boston: Smith, 1984. Vol 1. of Wit and History. 2 vols.

여러 판이 나와 있는 책인 경우 초판이 아닌 개정판을 지칭할 때는 제목 뒤, 전체권수 앞에 -th ed.(=edtion)를 표시한다.

Meargham, Paul. Wit: Its Meaning. 3rd ed. 2 vols. Boston: Smith, 1984.

번역된 책인 경우

Meargham, Paul. Wit: Its Meaning. Trans. George Playe. Boston: Smith, 1984.

편집된 책인 경우

Meargham, Paul. ed. Wit: Its Meaning. 3rd ed. 2 vols. Boston: Smith, 1984.

여러 글을 엮은 모음집에서 글 하나만 표시하는 경우

Meargham, Paul. “The History of Jokes.” Wit: Its Meaning. Ed. George Playe. Boston: Smith, 1984. 123-46.

백과사전 같은 참고서적에서 하나의 항목만 표시할 경우

Meargham, Paul. “The History of Jokes.” Encyclopedia of Humor. Boston: Smith, 1984. 123-46.

쪽수는 123-146처럼 숫자를 모두 쓰지 말고 123-46처럼 공통된 숫자는 생략하고 쓴다.

글/논문

저자.

성, 이름, 중간이름 머릿글자.

제목.

“글제목”

출판정보.

간행물 제목 볼륨번호(년도):페이지번호.

O’Connell, James. “Wit and War.” Theory of Humor 21 (1983): 155-60

주의할 점

  • 글제목은 밑줄 긋거나 기울여 쓰지 않는다.
  • 간행물 제목은 밑줄 긋거나 기울여 쓴다.
  • 인용한 간행물의 발행호수, 발행날짜, 논문이 실린 페이지번호를 쓴다.

일반적인 잡지에 수록되어있을 경우

O’Connell, James. “Wit and War.” Humor Today June 1996: 45-66.

신문에 수록되어있을 경우

O’Connell, James. “Wit and War.” Tulsa Clarion 13 June 1983: 1B.

저자가 없는 경우 글 제목으로 바로 시작한다.

“Wit and War.” Tulsa Clarion 13 June 1983: 1B.

학술지에 수록되어있을 경우

O’Connell, James. “Wit and War.” Theory of Humor 14 (1997): 335-60.

학술지들은 대부분 같은 해에 발간하는 책은 페이지번호를 이어서 출간하기 때문에 발행호수issue number만 표기하면 된다. 하지만 매번 발간할 때마다 페이지번호를 처음부터 매기는 학술지는, 다음과 같이 발행호수 뒤에 점을 찍고 볼륨번호를 붙인다.

O’Connell, James. “Wit and War.” Theory of Humor 14.2 (1983): 33-60.

Meargham, Paul. Wit: Its Tragic Meaning. Boston: Smith, 1984. Vol 1. of Wit and History. 2 vols.

또다른 글에 대한 리뷰인 경우 리뷰어의 이름과 리뷰 제목을 (제목이 있다면) 먼저 쓰고, 리뷰한 책의 저자이름과 제목을 쓴다.

Abbot, Andrew. “I’m Not Laughing.” Rev. of Wit and War by James O’Connell. Theory of Humor 14 (1997): 401-19.

텍스트가 아닌 자료

영화인 경우 제목을 먼저 쓰고 밑줄을 긋거나 기울여 쓰고 감독이름, 배급사, 최초상영연도를 쓴다. 제목과 배급사 사이에 각본과 같은 정보를 넣을 수 있다.

It’s a Funny War. Dir. Nate Ruddle. Wri. Francis Kinahan. RKO. 1958.

TV프로그램인 경우 에피소드 제목, 시리즈제목, 방송사, 방송날짜를 쓴다. 시리즈제목 뒤에 감독이나 극본과 같은 정보를 넣을 수 있다.

“The Last Laugh’s on Bart.” The Simpsons. FOX. May 22, 1996.

온라인출판물인 경우 출처표기 끝에 이 자료를 찾은 날짜와 URL을 넣는다. 원래는 인쇄되어 나온 책이나 글이지만 온라인에서 전자출판된 것을 인용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O’Connell, James. “Wit and War.” Theory of Humor 14.2 (1997): 33-60. 15 Nov. 2011 https://www.xcendo.net/argument

온라인데이터베이스에서 찾아낸 책이나 글을 인용하는 경우 출처표기 끝에 데이터베이스이름, 운영자이름, 접속한 날짜, URL을 덧붙인다.

O’Connell, James. “Wit and War.” Theory of Humor 14.2 (1997): 33-60. WilsonWeb. Bulwinkle College, Lake Forest, IL. 23 Oct. 2011 https://www.xcendo.net/argument

웹페이지인 경우 웹페이지의 저자/운영자의 이름을 (찾을 수 있다면) 먼저 쓴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최선의 정보를 최대한 찾는다. URL은 물론 가장 최근 업데이트날짜도 확인하라.

Center for Wartime Humor Home Page. 23 May 2014. 15 Nov. 2015 https://www.xcendo.net/argument

본문에 인용출처표기하기

기본원칙은 인용한 글의 출처를 독자들에게 정확하게 알려주는 것이다. 다음 세가지 경우를 고려해야 한다.

글에서 출처를 언급했다면, 어디서 인용한 것인지 독자들은 알 것이다. 그럴 땐 마침표 앞에 괄호를 넣고 페이지번호를 넣어주면 된다.

고통과 죽음의 경험을 희석시키는 방법으로 재치가 비극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하면서, 오코넬O’Connell은 바로 재치와 유머가 어떻게 참을 수 없는 압박감을 풀어주는지 《햄릿》에서 무덤을 파는 장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34).

독자들이 출처를 혼동할 수 있다면 더 명확하게 해야 한다. 예컨대, 오코넬이 쓴 글이나 책을 여러 가지 인용했다면 어디에서 인용했는지 분명히 밝혀줘야 한다. 페이지번호 앞에 제목을 구별할 수 있는 중요한 단어 하나를 넣어준다.

고통과 죽음의 경험을 희석시키는 방법으로 재치가 비극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하면서, 오코넬O’Connell은 바로 재치와 유머가 어떻게 참을 수 없는 압박감을 풀어주는지 《햄릿》에서 무덤을 파는 장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Wit 34).

한 문단에 여러 사람 이름이 나온다면 출처 앞에 저자이름을 넣는다. (필요하다면 제목도 넣는다.)

고통과 죽음의 경험을 희석시키는 방법으로 재치가 비극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오코넬은 주장한다. 하지만 바로 재치와 유머가 어떻게 참을 수 없는 압박감을 풀어주는지 가장 잘 보여주는 예가 《햄릿》에서 무덤을 파는 장면이라는 할리데이 주장을 오코넬은 반박한다(O’Connell, Wit 34).

APA 출처표기방식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미국심리학회: 사회과학에서 주로 사용한다.

책 (논문모음집포함)

저자.

성, 이름 머릿글자. (년도)

제목.

제목: 부제목.

출판정보.

도시: 출판사.

Meargham, P. (1988) The history of wit and practical jokes: how humor coexists with cruelty. Boston: Smith.

  • 저자이름 바로 뒤에 괄호를 치고 출판년도를 쓴다.
  • 제목은 반드시 밑줄 긋거나 기울여 쓴다.
  • 제목의 맨 앞 단어만 대문자로 쓴다.
  • 각각의 정보단위가 끝날 때마다 마침표를 찍는다.
  • 출처표기가 한 줄 이상 넘어갈 때, 두 번째 줄은 들여 쓴다.

같은 저자가 쓴 여러 책을 나열할 경우 발행순서대로 나열한다. 한 해에 여러 권의 책이 발행되었을 때는 발행순서대로 년도 뒤에 알파벳소문자를 붙인다.

Meargham, P. (1984). Wit: its meaning. Boston: Smith.
Meargham, P. (1988a). The history of wit and practical jokes. Boston: Smith.
Meargham, P. (1988b). War jokes. Boston: Smith.

저자가 여러 명인 책인 경우 모든 저자들의 성을 쓰고 이름은 머릿글자만 쓴다. and 대신에 &를 쓴다.

Meargham, P., Winston, H. & Holt, J. (1984). Wit: its meaning. Boston: Smith.

저자가 여섯 명 이상일 때는 첫 번째 저자이름만 쓰고 뒤에 et al을 붙인다.

Meargham, P., et al. (1984). Wit: its meaning. Boston: Smith.

여러 권으로 나뉘어 있는 책인 경우 여러 권으로 된 책을 통틀어 지칭하고자 할 때는 제목 뒤에 괄호를 치고 Vols.(=volumes) 다음에 전체권수를 쓴다.

Meargham, P. (1984). Wit: its meaning. (Vols. 1-2). Boston: Smith.

특정한 권을 지칭할 때는 Vol. 다음에 자신이 참고한 볼륨번호(시리즈번호)를 쓴다.

Meargham, P. (1984). Wit: its meaning. (Vol. 1). Boston: Smith.

시리즈에서 특정한 책을 지칭할 경우 시리즈의 이름을 먼저 쓰고 인용한 책의 볼륨번호와 제목을 쓴다.

Meargham, P. (1984). Wit and history. (Vol. 1). Wit: its meaning. Boston: Smith.

여러 판이 나와 있는 책인 경우 첫 판이 아닌 개정판을 지칭할 때는 제목 뒤에 괄호를 치고 “~th ed.(=edition)”를 표시한다.

Meargham, P. (1984). Wit: its meaning. (3rd ed.). Boston: Smith.

번역된 책인 경우

Meargham, P. (1984). Wit: its meaning. ( G. Playe, Trans.). Boston: Smith.

편집된 책인 경우

Meargham, P. ( Ed.) (1984). Wit: its meaning. Boston: Smith.

여러 글을 엮은 모음집에서 글 하나만 표시하는 경우

Meargham, P. (1984). The History of Jokes. In G. Plye (Ed.), Wit: its meaning. (pp. 125-142). Boston: Smith.

백과사전 같은 참고서적에서 하나의 항목만 표시할 경우

Meargham, P. (1984). The History of Jokes. In Encyclopedia of Humor (pp. 123-126). Boston: Smith.

페이지번호는 123-42처럼 공통숫자를 생략하여 쓰지 말고 123-142처럼 모두 쓴다.

글/논문

저자.

성, 이름 머릿글자. (년도)

제목.

“글제목”

출판정보.

간행물 제목 볼륨번호, 페이지번호.

O’Connell, J. (1983). Wit and War. Theory of humor 21, 155-160.

  • 글제목은 밑줄 긋거나 기울여 쓰지 않는다.
  • 간행물제목은 기울여 쓴다.
  • 인용한 간행물의 발행호수, 발행날짜, 논문이 실린 페이지번호를 쓴다.

일반적인 잡지에 수록되어있을 경우

O’Connell, J. (1996, June 13). Wit and War. Humor Today, pp. 45-66.

신문에 수록되어있을 경우

O’Connell, J. (1983, June 13). Wit and War. Tulsa Clarion, p. 1B.

저자가 없는 경우 글 제목을 저자 자리로 옮긴다.

Wit and War. (1983, June 13). Tulsa Clarion, p. 1B.

학술지에 수록되어있을 경우

O’Connell, J. (1983). Wit and War. Theory of humor, 14, 335-360.

학술지들은 대부분 같은 해에 발간하는 책은 페이지번호를 이어서 출간하기 때문에 발행호수issue number만 표기하면 된다. 하지만 매번 발간할 때마다 페이지번호를 처음부터 매기는 학술지는, 다음과 같이 발행호수 뒤에 괄호를 치고 볼륨번호를 붙인다.

O’Connell, J. (1983). Wit and War. Theory of humor, 14(2), 33-60.

또다른 글에 대한 리뷰인 경우 리뷰어의 이름과 리뷰의 제목을 (제목이 있다면) 먼저 쓰고, 리뷰한 책의 저자이름과 제목을 사각괄호 안에 쓴다.

Abbot, A. (1997). I’m Not Laughing. [Rev. of the book Wit and war]. Theory of humor 14, 401-419.

텍스트가 아닌 자료

영화인 경우 감독이나 영화를 만든 책임자(제작자 등) 이름을 먼저 쓰고, 괄호 안에 최초상영연도를 쓰고 제목을 밑줄을 긋거나 기울여 쓰고 배급사를 쓴다.

Ruddle, N. (Director). (1958) It’s a Funny War. [Motion picture]. United States: RKO.

TV프로그램인 경우 제작자, 감독을 비롯하여 제작에 참여한 중요한 인물들 이름을 먼저 쓰고 괄호 안에 날짜를 쓰고 제목은 기울여 쓴다. 그 다음 사각괄호 안에 TV방송물형식이라는 것을 표기하고 도시, 방송국을 쓴다.

Kinahan, F. (Writer). (1996, May 22). The last laugh’s on Bart. [Television series episode]. In J. Doe (Producer), The Simpsons. Reno, NV: Fox.

온라인출판물인 경우 원래는 인쇄되어 나온 책이나 글이지만 온라인에서 전자출판된 것을 인용했다면, 출처표기 끝에 이 자료에 접속한 날짜와 URL을 넣는다.

O’Connell, James. (1997). Wit and War. [Electronic versoion]. Theory of Humor 14(2), 33-60. Retrieved Nov. 15, 2011 from https://www.xcendo.net/argument

웹페이지인 경우 웹페이지의 저자/운영자의 이름을 (찾을 수 있다면) 먼저 쓴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최선의 정보를 최대한 찾는다. URL은 물론 가장 최근 업데이트날짜도 확인하라.

Center for Wartime Humor Home Page. (2014. May 23). Retrieved Nov. 15, 2015 from https://www.xcendo.net/argument

본문에 인용출처표기하기

기본원칙은 인용한 글의 출처를 독자들에게 정확하게 알려주는 것이다. 다음 세가지 경우를 고려해야 한다.

글에서 출처를 언급했다면, 어디서 인용한 것인지 독자들은 알 것이다. 그럴 땐 마침표 앞에 괄호를 넣고 년도만 넣어주면 된다.

고통과 죽음의 경험을 희석시키는 방법으로 재치가 비극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하면서, 오코넬O’Connell은 바로 재치와 유머가 어떻게 참을 수 없는 압박감을 풀어주는지 《햄릿》에서 무덤을 파는 장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2012).

한 해에 여러 권의 책이 발행되었을 때는 발행순서대로 년도 뒤에 알파벳소문자를 붙인다.

고통과 죽음의 경험을 희석시키는 방법으로 재치가 비극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하면서, 오코넬O’Connell은 바로 재치와 유머가 어떻게 참을 수 없는 압박감을 풀어주는지 《햄릿》에서 무덤을 파는 장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2012a).

조금이라도 혼동할 염려가 있을 때에는 년도 앞에 저자이름을 넣는다.

고통과 죽음의 경험을 희석시키는 방법으로 재치가 비극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오코넬은 주장한다. 하지만 바로 재치와 유머가 어떻게 참을 수 없는 압박감을 풀어주는지 가장 잘 보여주는 예가 《햄릿》에서 무덤을 파는 장면이라는 할리데이 주장을 오코넬은 반박한다(O’Connell, 2012a)

인쇄용 버전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