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는 동사
- 문장에 대한 느낌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 스토리텔링: 누가 무엇을 했는가?
- 스토리텔링과 전문가의 글쓰기
- 주요행위를 동사로 표현하라
- Practice: 직접 고쳐보자
- 일반적인 명사화 패턴
- 명사화 구문을 풀면 무엇이 좋아지는가?
- 예외: 명사화 구문이 유용한 경우
- 그림일기 글쓰기
- 학교의 기초적인 소양교육의 실패 원인은 학습에 관한 문화적 배경의 영향을 이해하지 못한 데 있다.
- 학교가 기초적인 소양교육에 실패하는 것은 아이의 학습방식에 문화적 배경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윗문장보다 아랫문장을 더 명확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주요행위자가 주어 자리에 온다.
- 동사는 구체적 행위를 표현한다.
이것이 바로 어떤 문장이 독자에게 명확하다는 인상을 주는 핵심요인이다. 스토리텔링의 원칙이 문장 속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문장의 주어는 짧고, 구체적이고, 명료할수록 좋으며 동사는 실질적인 행동을 담고 있어야 한다.
난해한 문장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동사를 명사로 포장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명사화nominalization’이라고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글을 쓸 때 저지르는 명사화 패턴을 이해하면 어려운 글도 좀더 쉽고 빠르게 읽고 이해할 수 있다.
- 우리 연구에 대한 더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은 다른 팀들의 더 빠른 시작에도 불구하고, 성공으로 이어졌다.
- 다른 팀들이 먼저 시작했음에도, 우리는 연구를 더 효과적으로 프레젠테이션한 덕분에 성공할 수 있었다.
명사화구문을 풀면 다음과 같은 혜택을 누릴 수 있다.
- 문장이 훨씬 구체적이 된다.
- 문장이 훨씬 간결해진다.
- 논리가 훨씬 명확해진다.
- 훨씬 일관되게 이야기를 전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