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 9. Shape

긴 문장을 쓸 줄 알아야 진정한 달인

  • 쉽게 읽히는 긴 문장을 써라
  • Practice: 직접 고쳐보자
  • 길고 복잡한 글을 읽어나갈 수 있는 힘
  • 관계사 절을 쓰지 않고 긴 글 쓰는 법
  • 등위구문을 만드는 일반적인 원칙
  • 문장이 길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

우긴 문장을 쓰지 말라고 조언하는 사람도 있지만, 짧은 문장만으로는 복잡한 개념을 전달할 수 없다. 길면서도 명확한 문장을 쓸 줄 알아야 한다.

역사학자들은 수니파와 시아파가 오늘날 반목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많은 이들은 갈등의 원인이 오랜 종교적 차이에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1,300년 동안 두 종족이 갈등한 역사의 모든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까지 고려해야 한다.

수니파와 시아파가 오늘날 반목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오랜 종교적 차이는 물론 1,300년 동안 두 종족이 갈등한 역사의 모든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까지 알아야 한다.

짧은 세 문장을 나열한 것보다 하나의 긴 문장으로 연결한 글이 훨씬 정돈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더 쉽게 이해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긴 문장이 어렵고 난잡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문제 때문이다.

  1. 주절이 등장할 때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다.
  2. 종속절이 난잡하게 뒤엉켜 있어 해독하고 정리하는 것이 어렵다.
  3. 문장 중간에 삽입된 요소들이 많아 읽어나가는 것을 방해한다.

레슨7에서 설명한 도입부 쓰기의 원칙은 긴 문장을 쓸 때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짧고 직접적이며, 뒤따라 나올 복잡한 정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뼈대를 짜주는 도입부가 있으면, 아무리 복잡한 구문이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고액공제건강보험과 건강저축계좌를 만들어 노동자와 고용주가 세금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면 결과적으로 노동자의 의료보험 부담이 커진다.

노동자의 의료보험 부담이 커지는 것은, 고액공제건강보험과 건강저축계좌를 만들어 노동자와 고용주가 세금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윗문장은 두 개의 전문용어가 포함된 11개 어절을 읽고 난 다음에야 문장의 핵심주장이 등장한다. 독자들은 앞에서 읽은 내용이 주장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모르는 채 읽었기 때문에, 대부분 이런 문장을 만나면 앞으로 되돌아가 다시 읽는다. 반면, 아랫문장은 문장의 핵심주장을 맨 먼저 간결하게 진술한 다음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을 제시한다. 이 문장은 4어절만 읽으면 앞으로 나올 내용이 무엇인지 ‘읽지 않고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자신이 쓴 긴 문장이 적절한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문장을 직접 소리내어 읽어보는 것이다. 문장을 읽어가다가 숨이 차거나, 중요하지 않은 부분에서 목소리에 힘이 들어간다면 문제가 있다는 뜻이다.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