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곳에서 갑작스럽게 쿠데타가 일어난다면, 그곳에 뉴욕타임스 특파원이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AP특파원은 반드시 있을 것이라고 누구나 기대한다.”
0
AP가 매일 생산하는 기사
0
AP가 매일 생산하는 사진
0
AP가 매일 생산하는 영상클립
0
AP가 기사를 제공하는 언론사
퓰리처상에 빛나는 AP의 역사적 현장보도와 탐사보도
1950, 한국전쟁 Max Desfor, Taedong River of Korea
1945, 제2차세계대전 Joe Rosenthal, U.S. Marines on the Japanese Island of Iwo Jima
1953, 아이젠하워 비밀방한 Don Whitehead, President-elect Eisenhower’s secret trips to Korea (reporting)
1964, 베트남전쟁 Horst Faas, a child killed by South Vietnamese Army Rangers
1973, 베트남전쟁 Eddie Adams, Execution a Viet Cong prisoner on a Saigon street
1972,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Horst Faas and Michel Laurent, East-West Pakistan War and Independence of Bangladesh
1973, 베트남전쟁 Nick Ut, terror after a napalm attack
1977, 로디지아내전 Ross Baughman, Rhodesia’s black prisoner and their white cavalrymen
1982, 팔레스타인전쟁 Bill Foley, massacre of Palestinians in a refugee camp in Beirut
1991, 소비에트연방 붕괴 Olga Shalygin, Liu Heung Shing, Czarek Sokolowski, Boris Yurchenko and Alexander Zemlianichenko, coup in the Soviet Union and the collapse of the Communist regime.
1994, 르완다내전 Javier Bauluz, Jean-Marc Bouju, Jacqueline Arzt Larma and Karsten Thielker, the ethnic violence in Rwanda.
2000, 노근리학살 Sang-Hun Choe, Charles J. Hanley, Martha Mendoza and Randy Herschaft, massacre under the Bridge at No Gun Ri (investigative reporting)
2004, 이라크전쟁 Bilal Hussein, Karim Kadim, Brennan Linsley, Jim MacMillan, Samir Mizban, Khalid Mohammed, John B. Moore, Muhammad Muheisen, Anja Niedringhaus, Murad Sezer and Mohammed Uraibi, Iraq War
2006, 이스라엘 정착촌건설 Oded Balilty, Evacuation of the West Bank settlement outpost of Amona
2012, 시리아내전 Rodrigo Abd, Manu Brabo, Narciso Contreras, Khalil Hamra and Muhammed Muheisen, Syrian civil war
Praise from Journalists
이 책을 통해 한국의 기자들도 이제는 세계적으로 가치있는 이야기를 취재하는 ‘국제특파원’의 일원이라는 통찰을 얻을 수 있기를 갈망한다. 전지구적인 국제특파원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현장에서 목격한 것을 단순히 한국의 독자들만이 아니라 그 너머 세상에 있는 독자들에게 내보낼 기사를 쓴다는 자각을 하는 데 이 책이 조금이나마 이바지할 수 있기를 바란다.
Jean H. Lee
우드로윌슨국제학술센터 한국역사·공공정책 현대자동차-한국국제교류재단 센터 소장, 전 AP 서울/평양지국장
전쟁터에서 목숨을 잃거나, 테러세력에 납치되거나, 산사태에 휩쓸릴 위험을 무릅쓰고 ‘역사의 맨 앞자리에 섰던’ AP 특파원들의 이야기는 경외감 속에 ‘언론의 사명’을 돌아보게 한다. 80년 광주에서 계엄군의 거짓말을 받아쓰는 대신 거리의 시신을 일일이 세었다는 테리 앤더슨의 이야기는 ‘기자는 어떻게 일해야 하는가’를 소름 돋게 일깨워 준다. 오늘의 우리 언론을 염려하는 모든 이들이 함께 읽었으면 좋겠다.
제정임
세명대 저널리즘스쿨대학원장
나는 2000년대 초 ‘노근리학살’ 보도로 퓰리처상을 받은 AP취재팀을 AP뉴욕본사로 찾아가 직접 인터뷰한 적이 있다. 취재 자체도 어려웠지만, 그에 못지 않게—이 책에는 나오지 않지만—미국정부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취재를 막으려는 AP경영진에 맞서 싸우면서 취재를 이어나가는 것도 무척 힘들었다고 AP기자들은 토로했다. 역사의 현장에서 진실을 있는 그대로 추적하여 전달하고자 헌신하는 AP저널리스트들의 저력은 기자인 나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AP 저널리즘이 추구하는 기자정신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이 책은, 오늘날 위기에 빠진 한국의 언론생태계에 울리는 경종이 될 것이다.
김용진
뉴스타파 대표
사실 확인과 뉴스가치 판단, 취재원 확보와 유지, 현장 취재의 어려움과 중요성, 공정성을 지키는 방법 등 기자가 갖춰야 할 기본에 충실한, 생생하고 재미있는 취재 사례들은 예비 언론인들에게 실무 교과서로 쓰일 만하다. 기자에 대한 비난과 희화화가 일상이 된 지금, ‘기자는 어디에서 자존을 찾을 것인가’에 대한 대답으로도 유용하다.
김창석
한겨레교육 대표
《AP, 역사의 목격자들》은 파키스탄의 오지에서 워싱턴DC 에 이르기까지 전세계 곳곳에 산재해있는 AP 특파원 61명을 직접 찾아다니며 인터뷰하여 만들어낸 책이다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사건사고들 에 관한 기사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그 중 가치 있는 기사들을 선별한 다음 그 기사를 쓴 특파원들을 추적하여 어떤 과정을 통해 그런 기사를 작성했는지 밝혀내는 방식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이 책은 저널리즘에 대한 다른 접근방식보다 훨씬 수준높고 의미있는 인터뷰와 통찰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945년 일본의 항복선언부터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보스니아전쟁 천안문항쟁 시리아내전 2011년 동일본대지진까지 현대사의 주요사건들을 직접 현장에서 목격하고 취재한 이들의 이야기 속에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 저널리즘이 작동하는 프로세스를 날 것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사건현장과 뉴스와 국제관계 사이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좀더 깊이있게 이해할 수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짐바브웨에 이르기까지 세계 각지에서 80년 동안 펼쳐진 해외통신 특파원들의 성공담과 실패담은 언론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한지 언론의 존재가 얼마나 소중한지 다시 한번 일깨워줄 것이다. 당연하게 여겨지는 서사를 의심하고 , 널리 퍼져있는 거짓을 폭로하고 ,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대신 전해주고 , 진실을 말하는 목격자를 두려워하는 자들의 폭력적인 방해를 넘어 서는 이들의 헌신없이는 민주주의 공론장은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 또한 상당한 위험이 도사리는 현장속으로 뛰어드는 그들의 용기있는 모습 이면에 숨은 고뇌와 슬픔은 같은 인간으로서 경외심을 안겨줄 것이다.
Giovanna Dell’Orto
지오바나 델오토
미네소타대학 저널리즘 매스커뮤니케이션대학 교수로 뉴스 취재보도관행 국제관계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춰 연구하고 가르친다 이러한 주제로 그녀는 중국에서 칠레까지 전세계를 무대로 학술연구자들은 물론 언론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했다. AP 통신에서 특파원과 에디터로 활동했으며 4 개 국어에 능통하다 . 1848 년부터 2008 년까지 해외통신이 미국의 대외정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미국의 언론과 국제관계 American Journalis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를 저술했으며 미국과 유럽의 이민에 대한 언론보도와 여론의 상관관계를 파헤친 《남쪽국경에서 리포팅하기 Reporting at the Southern Borders 》 등 국제관계 보도에 관한 책을 여러 권 쓰고 편집했다. 미네소타대학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신우열
한동대학, 연세대학 미네소타대학에서 언론학 뉴스사회학 사회운동 등을 공부했다 현재 경남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언론사회학적 관점을 토대로 언론 기자 뉴스의 의미 언론과 감정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 뉴스타파 전임연구원으로서 탐사보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한국방송기자대상 (미디어공공성포럼언론상) 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