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하는 번역 온라인레슨 19
이 레슨은 [갈등하는 번역 22. 독자를 낚는 그물을 짜는 기술: 표층결속성]에서 다루는 내용을 설명합니다.
갑자기 제닌이 멈췄습니다. 그녀가 그를 본 순간 그녀의 얼굴이 창백해지더군요.
위 예문에서 뒷문장의 ‘그녀’는 앞 문장의 ‘제닌’을 가리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글에서는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결속장치’들은 텍스트에 흩어져 있는 여러 항목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합니다. 예컨대 위 예문에서 ‘그녀’나 ‘그’는 앞에서 언급한 어떤 항목을 ‘지시’함으로써 텍스트에 산재해 있는 의미들을 하나로 연결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러한 결속장치들을 텍스트이론에서는 표층결속장치cohesive device라고 부르며, 표층결속장치를 통해 텍스트 속에 담긴 여러 항목들이 관계망을 형성하는 텍스트의 특성을 ‘표층결속성cohesion’이라고 부릅니다.
우선 표층결속장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볼까요? 표층결속장치에는 다섯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지시 Reference
먼저 이름으로 참여자를 분명하게 언급한 뒤 바로 뒤 이어 대명사를 사용하여 동일참여자를 지시하는 기법.
지시결속장치의 종류
- 인칭대명사 Personal reference: I, me, mine, it, its…
- 지시어(deitics) Demonstrative reference: the, this, these, that, here, there, now, then
- 비교형용사 Comparative reference: some, other, different, more, less, further, so, such, as, better, darker, worse
Note
- 지시는 대개 텍스트 안에 있는 항목을 가리키지만(endophoric), 텍스트 밖에 있는 항목을 가리킬 수도 있다(exophoric). 예컨대 I(me, mine), you, here, now, this 등은 exophoric, he/she, it, they 등은 endophoric이다.
- 비교형용사들이 지시결속장치라는 뜻은, 비교대상이 텍스트 안에 언급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 대명사체계에 수/성을 표시할 수 있는 언어는 혼란을 유발하지 않고 지시대상을 명확하게 가리킬 수 있다. 그런 이유로 영어에서는 지시사를 쓸 수 있는 곳에서 지시사를 쓰지 않으면 어색한 구문이 될 정도로 지시사를 빈번하게,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 히브리어에서는 대명사를 사용하지 않고 고유명사를 계속 반복하여 사용한다.
- 브라질의 보로로어Bororo에서는 참여자의 이름을 연달아 몇 번 반복하고 난 다음에 대명사를 사용한다. (Callow 1974)
- 브라질포루투갈어에서는 대체로 대명사 대신 어휘반복을 선호한다. 또한 포루투갈어는 동사가 인칭과 수를 반영하여 굴절하기 때문에 대명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특정 참여자를 지시할 수 있다.
-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에서는 대명사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처음 참여자를 소개하고 나면 이후 절들은 대부분 (주어를) 생략함으로써 지시의 연속성을 표시한다.
대체 Substitution
앞에서 언급한 대상을 반복하지 않고 다른 어휘로 대체하는 기법.
- My axe is too blunt. I must get a sharper one. (axe ← one)
- I’ll have two eggs on toast, please. – I’ll have the same. (two eggs on toast ← the same)
- Although the management keeps promising to change their ways, they never do. (change ← do)
- He was a total disgrace and I told him so. (He was a total disgrace ← so)
생략 Ellipsis
앞에서 언급한 대상을 반복하지 않고 생략하는 기법.
- Here are thirteen cards. Take any. (두 번째 절에서 card 생략)
- John brought some carnations, and Catherine some sweet peas. (두 번째 절에서 brought 생략)
- Have you been abroad? – Yes, I have. (두 번째 절에서 been abroad 생략)
접속 Conjunction
접속은 다른 표층결속장치와 다르다. 다른 표층결속장치들은 개별항목을 연결하지만, 접속은 앞에서 이야기한 내용과 앞으로 이야기할 내용을 어떻게 연관 지어 해석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이정표와 같은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저자가 자신이 말하는 내용을 독자가 어떻게 연결해 해석하기를 바라는지 알려주는 것이다. 접속은 인간이 생각해낼 수 있는 모든 논리적 연결형식을 구현한다.
- 덧붙이기: and, or, also, furthermore, similarly, likewise, by contrast, incidentally, in other words, for example
- 뒤집기: but, yet, however, instead, on the other hand, at any rate, in any case, as a matter of fact
- 인과: so, consequently, it follows, under the circumstances, therefore, to that end, in that case, otherwise
- 시간: previously, finally, as, at once, meanwhile, hitherto, from now on, to sum up, in short, to resume
- 연속 등 기타: now, of course, well anyway, surely, after all
Note
- 같은 접속사라도 문맥에 따라 다른 관계를 연결하는 표지로 사용될 수 있다.
-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위와 같은 관계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follow, precede와 같은 동사로 시간관계를 표시할 수 있고 cause, lead to와 같은 동사로 인과관계를 표시할 수 있다.
- 접속사는 외부적인 현상 사이의 관계를 표시하기도 하지만, 텍스트 내부항목들의 관계나 의사소통 상황을 정리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i.e. 첫째, 둘째, 셋째)
- 텍스트유형에 따라 접속사를 사용하는 패턴은 상당히 달라진다(Smith and Frawley, 1983: 358). 예컨대 종교텍스트에서는 ‘nor’와 같은 부정부가접속사와 인과접속사가 빈번히 나타난다. 반면, 학술텍스트와 언론보도에서는 접속사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인과접속을 기피한다.
- 언어마다 접속표지의 사용빈도, 선호하는 접속표지의 종류가 다르다.
- 언어마다 정보뭉치의 관계를 인식하고 표시하는 방식이 다르다.
- 영어, 독일어는 복문을 활용해 종속관계를 표현하는 빈도가 높다.
- 영어는 접속사뿐만 아니라, 고도로 발달한 문장부호체계를 이용해 정보뭉치를 연결할 수 있다.
- 아랍어, 일본어, 한국어 등은 대개 단순하고 짧은 정보뭉치연결구조를 선호하며 정보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빈도가 높다.
- 아랍어에서는 접속사를 불명확한 의미로 마구 남발하는 경향이 있다.(Milic, 1970)
- 표층결속을 많이 사용할수록 텍스트구조가 투명하고 메시지의 논리관계가 명료해진다. 하지만 지나치게 사용하면 독서의 긴장감을 떨어뜨릴 수 있다.
어휘 Lexical Cohesion
어휘를 활용하여 텍스트 그물망을 짜는 기법. 어휘는 다음 두 가지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반복 reiteration
같은 어휘를 반복하여 결속하는 기법. 동일어는 물론, 동의어, 상위어, 일반어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
There’s a boy climbing that tree. | The boy is going to fall…(동어반복) The lad is going to fall… (동의어) The child is going to fall… (상위어) The idiot is going to fall… (일반어) |
The danger is that a massive increase in news means that there is a glut of the stuff.
이 예문에서 ‘the stuff’는 앞에 나오는 ‘The danger’를 지칭한다. 이처럼 구체적인 항목을 지시할 때 자주 사용되는 일반어휘들을 알아두면 cohesive chain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개별항목을 지칭할 수 있는 일반어휘general words 목록의 예
- Human: people, man, woman, child, boy, girl…
- Non-human animate: creature…
- Inanimate concrete count: thing, object…
- Inanimate abstract: business, affair, matter…
- Fact: fact, question, idea…
- Others: time, situation, place, move…
연어 collocation
쉽게 연상되거나 함께 발생하는 확률이 높은 어휘집합을 활용하는 기법. 예컨대 ‘비’라는 어휘 다음에는 ‘날씨’(전체), ‘햇빛’(대비항목), ‘물방울’(부분), ‘우산’(연관항목), ‘내리다/젖다’(함께 발생할 확률이 높은 항목) 같은 항목들이 따라나올 확률이 높다.
연어를 활용한 표층결속은 지시, 대체, 생략과 달리 동일한 항목을 가리키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어휘들은 텍스트를 하나의 그물망으로 연결해준다는 측면에서 결속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 예문을 보자.
In the past I’ve paid little attention to world oil shortages and the consequent increases in oil prices because they tend to end naturally, when supply catches up with demand. But in the current instance no such rectification by the market has taken place, so more fundamental remedies must be studied.
이 짧은 예문을 보면 price(가격)- supply(공급)-demand(수요)-market(시장)와 같은 어휘들이 표층결속을 이루면서 하나의 맥락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지만, 이러한 어휘들은 지시, 대체, 생략처럼 어떤 특정한 항목을 가리키지는 않는다.)
- 연어collocation proper: i.e. 비-쏟아지다-폭우-젖다, 머리카락-빗-곱슬거리는-샴푸-찰랑찰랑한
- 의미상 대조를 이루는 어휘들: 소년-소녀, 사랑-미움, 명령하다-복종하다
- 의미분류수준에 따라 자연스럽게 연상되는 어휘들: 월요일-9시, 8월-10일, 달러-센트
- 의미장이나 어휘집합으로 연상되는 어휘들:
- 전체-부분 관계: 자동차-브레이크, 몸-팔, 자전거-바퀴
- 부분-부분 관계: 입-볼, 독창-합창
- Co-hyponym: 빨강-파랑 (색깔), 의자-책상 (가구)
갑자기 제닌이 멈췄습니다. 그녀가 그를 본 순간 그녀의 얼굴이 창백해지더군요.
사실, 이 예문은 한국어답지 않습니다. 여기 사용된 표층결속장치들은 한국어가 애용하는 표층결속장치가 아니거든요. 영어가 애용하는 표층결속장치(지시)를 그대로 옮겨놓은 것입니다. 자연스러운 한국어로 바꾸면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갑자기 제닌이 멈춰 섰어요. 그 남자를 본 순간 얼굴이 파랗게 질리더군요.
한국어는 표층결속장치 중 생략과 반복을 주로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