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ai

신피질 기능의 열쇠

This article is published on

This article belongs to the category

,

To read this article you need time

2분

This article received readers’ responses

0

This article consists of keywords

Learning

This learning process begins even before we are born, occurring simultaneously with the biological process of actually growing a brain. A fetus already has a brain at one month, although it is essentially a reptile brain, as the fetus actually goes through a high-speed re-creation of biological evolution in the womb. The natal brain is distinctly a human brain with a human neocortex by the time it reaches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At this time the fetus is having experiences, and the neocortex is learning. She can hear sounds, especially her mother’s heatbeat, which is one likely reason that the rhythmic qualities of music are universal to human culture. Every human civilization ever discovered has had music as part of its culture, which is not the case with other art forms, such as pictorial art. It is also the case that the beat of music is comparable to our heart rate. Music beats certainly vary—otherwise music would not keep our interest—but heartbeats vary also. An overly regular heartbeat is actually a symptom of a diseased heart. The eyes of a fetus are partially open twenty-six weeks after conception. There may not be much to see inside the womb, but there are patterns of light and dark that the neocortex begins to process.

학습

인간의 학습은 태어나기 전부터 시작된다. 뇌가 만들어지는 생물학적 발생과정과 동시에 학습은 시작된다. 정자와 난자가 수정된 지 한 달도 되지 않은 시점에 뇌는 이미 만들어진다. 물론 이렇게 처음 만들어지는 뇌는 사실상 파충류의 뇌에 가깝지만, 거대한 생물학적 진화가 약 20주 정도 되는 짧은 시간 동안 자궁 속에서 벌어진다. 수정 후 26주가 되면 태아의 뇌는 이제 신피질을 갖춘 완벽한 인간의 뇌로 탈바꿈한다. 이 때 태아는 이미 경험을 갖고 있으며, 신피질은 본격적으로 학습을 시작한다.

태아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데, 특히 엄마의 심장소리가 가장 크게 들린다. 음악의 리드미컬한 속성이 인류문화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아마 이 때문일 것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인류문명 중에서 그림과 같은 시각예술이 없는 문명은 존재한 적 있어도 음악이 없는 문명은 존재한 적이 없었다. 또한 음악의 박자는 심장박동수와 거의 일치한다. 물론 음악의 박자는 다양하지만—그렇지 않으면 음악은 우리의 관심을 끌지 못할 것이다—심장박동수 역시 마찬가지로 다양하다. 실제로 심장박동이 지나치게 규칙적인 경우, 그것은 오히려 심장에 병이 있다는 징후라고 한다.

태아는 또한 수정 후 26주부터 눈을 뜨기 시작한다. 수정 후 28주부터는 거의 하루 종일 눈을 뜨고 있다. 자궁 안에는 볼 것이 별로 없지만, 빛과 어둠은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적 패턴을 신피질은 처리하기 시작한다.

원작과 번역된 작품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읽어보세요.

위 텍스트는 번역자가 작성한 것으로, 실제 편집되어 출간된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한 당신의 생각을 남겨주세요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