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모든 사태의 원인을 따지는 가장 이성적인 방법

This article is published on

This article belongs to the category

To read this article you need time

3분

This article received readers’ responses

0

This article consists of keywords

인과관계를 따질 때 우리는 특정한 원인에만 초점을 맞추고 나머지 원인은 무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예컨대 지나친 폭음이 사회적 문제가 될 경우 대부분 사람들은 문제의 핵심으로 다음 두 가지를 떠올린다.

  • 사람이 문제다: 폭음을 하는 것은 미숙하고 무모한 개인의 인성이나 심리 때문이다.
  • 환경이 문제다: 폭음을 하는 것은 나쁜 친구, 동료집단의 압력, 쉽게 술을 접할 수 있는 상황 때문이다.

‘진짜’ 원인이 무엇인지 알면, 그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해법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과연 원인으로 삼을 수 있는 것은 이것말고 없을까?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도 원인이 될 수 있다.

  • 무지가 문제다: 많은 술을 한꺼번에 마시면 어떤 위험에 처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폭음을 한다.
  • 교육이 문제다: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그러한 위험에 대해 전혀 가르치지 않기 때문에 폭음이 발생한다.

우리가 인과관계를 이성적으로 따지지 못하는 5가지 이유

이러한 원인을 우리가 처음부터 떠올리지 못하는 이유는, 우리가 어리석거나 경솔하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 인간은 어떤 일의 원인을 따질 때 눈앞에 보이는 원인에만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다. 이것은 합리적 판단을 가로막는 인지적 편향cognitive bias이 작동한 결과다. 흔하게 발생하는 인지적 편향 다섯 가지를 살펴보자.

1. 결과가 나타나기 바로 전에 일어난 사건을 원인으로 삼는 편향

농구에서 경기종료신호가 울리기 바로 전에 2점 슛을 성공하여 1점차로 이겼을 때 우리는 1분 전에 성공한 3점 슛보다 마지막 순간에 성공한 2점 슛이 경기를 승리로 이끄는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원인을 따질 때, 가까운 원인뿐만 아니라 먼 원인도 체계적으로 살펴야 한다.

2. 일어나지 않은 사건보다는 일어난 사건을 원인으로 삼는 편향

폭음의 원인을 따질 때 우리는 ‘곁에 있는 친구들이 말리지 않았기 때문에’와 같이, 일어나지 않은 일을 원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원인을 찾을 때,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아보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어떤 일이 일어나지 않아서’ 그건 결과가 나타났는지도 생각해봐야 한다.

3. 일상적인 사건보다는 예외적인 사건에 인과관계를 부여하는 편향

시험을 보기 전 항상 예고를 하던 선생님이, 어느 날 예고도 없이 시험을 보아서 시험을 망쳤다. 내가 시험을 망친 이유는 예고도 없이 급작스럽게 시험을 본 선생 때문일까? ‘늘 하던 대로’ 시험 본다고 하기 전에는 공부하지 않는 나 때문일까? 원인을 찾을 때는 예외적인 요인도 주목해야 하지만 너무 평범하게 여겨지는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

4. 자신이 선호하는 가설에 어울리는 원인을 찾는 편향

취업이 어려워지는 것은 정부의 잘못된 경제정책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국제문제 역시 모두 정부의 외교정책 실패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을 때도 이들은 주저하지 않고 즉각 원인을 내놓는다. “이 모든 것이 무능한 빨갱이 정부 때문이다!” 아무리 사소한 결과라도 우연을 비롯하여 수많은 요인들이 복잡하고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한 결과 나타난 것일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라.

5. 결과의 중요성에 걸맞은 원인을 찾는 편향

1996년 TWA800 항공기가 이륙 후 연료탱크에서 발생한 우발적인 스파크로 인해 공중에서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원인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엄청난 비극을 초래한 원인으로는 너무나 사소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끝까지 테러를 의심했으나 테러의 흔적이 나오지 않자, 온갖 음모론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거대한 악의 세력만이 그 거대한 비극의 원인으로 균형이 맞기 때문이다.

히틀러
홀로코스트를 역사상 최악의 학살로 인식시키려면 히틀러는 인류최악의 독재자가 되어야 한다.

인과관계를 합리적으로 따지기 위한 네 가지 조언

1. 가능한 한 많은 원인을 상상하고 검토하라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 원인이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라. 예컨대 몇 년 전 누군가 모기를 지목하기 전까지만 해도, 말라리아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이었다. 그 때까지 모든 가설은 실패했다.

2. 비교집단을 만들라

어떤 요인이 원인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면 비교할 집단을 만들어야 한다. 새로 개발한 비료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한쪽 옥수수밭은 비료를 주고 경작하고 다른 한쪽은 기존 방식대로 경작하여야 한다. 흡연이 암의 원인이라는 사실 역시 이러한 방법으로 발견했다.

3. 과도한 단순화를 주의하라

흔히 “책을 읽는 학생들이 공부를 잘한다”라고 말한다. 어쩌면 책을 많이 읽는 것과 학업수준 모두 다른 원인의 결과일 수 있다. 예컨대 책을 읽는 학생들은 부유한 지역에서 더 좋은 고등학교를 다녔을지도 모른다. 또한 원인과 결과가 뒤바뀌었을 수 있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들이 문해력이 높기 때문에 책을 더 많이 읽는 것인지도 모른다.

4. 상호작용을 주시하라

원인을 찾았다고 생각하더라도 원인과 결과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복잡한 방식이 있으니, 눈여겨보아야 한다.

  • 또다른 원인: 자신이 찾아낸 원인과 결과가 모두 어떤 제3의 원인에 의해 일어난 결과일 수 있다. 만성적인 실업으로 인해 범죄율이 높아졌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이 두 가지 모두 오랜 빈곤에 의해 일어난 결과일 수 있다.
  • 상호원인: 원인과 결과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경우도 있다. 빈곤은 질 낮은 교육을 낳고, 질 낮은 교육은 범죄를 낳고, 범죄는 빈곤을 낳는다. 결국 이들 모두 원인인 것이다.

이 글은 논증의 탄생과 스타일레슨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한 당신의 생각을 남겨주세요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